다독가들은 책에 영향을 받아 삶의 전환점을 맞은 분을 인터뷰 해서 책의 가치를 꾸준히 알린 더라이브러리의 대표 콘텐츠이다.2025년부터 다독가들의 형식을 특정 분야의 필자를 인터뷰 해서 그 분야의 책을 읽는 N가지 방식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2025년 4월호로 《애도의 미학》의 저자이자 예술철학 에세이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한선아 작가를 초대
반려견에게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국내에는 아직 독서 공동체로 반려동물을 맞이하는 모습이 낯설 텐데요.한국리딩독연구소 대표이자 동물매개심리치료 연구자 윤혜경은 리딩독(Reading Dog) 프로그램이 학습 부진 아동에게 정서 안정을 주고,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성이 좋아지게 한다고 말합니다.자기를 비난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품에
다독가들은 책에 영향을 받아 삶의 전환점을 맞은 분을 인터뷰 해서 책의 가치를 꾸준히 알린 더라이브러리의 대표 콘텐츠이다.2025년부터 다독가들의 형식을 특정 분야의 필자를 인터뷰 해서 그 분야의 책을 읽는 N가지 방식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2025년 3월호로 시집 《검은 머리 짐승 사전》과 에세이집 《이듬해 봄》의 저자로 매번 신선한 시를
‘자세히 보아야 / 예쁘다 // 오래 보아야 / 사랑스럽다 // 너도 그렇다.’광화문 글판 시 풀꽃 1로 널리 알려진 시인 나태주를 만났다. SNS로 이루어지는 빠른 소통, 나날이 그 영역을 넓혀가는 인공지능(AI), 사회적 혼란과 분열 속에서 나태주 시인은 타인과의 진정한 연결과 쉬어감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발걸음을 멈추고 한 줄의 시를 바라보는 사
다독가들은 책에 영향을 받아 삶의 전환점을 맞은 분을 인터뷰 해서 책의 가치를 꾸준히 알린 더라이브러리의 대표 콘텐츠이다.2025년 부터 다독가들의 형식을 특정 분야의 필자를 인터뷰 해서 그 분야의 책을 읽는 N가지 방식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2025년 첫 호로 《가장 젊은 날의 철학》의 저자이자 유튜버로 이 시대에 철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올해 문학과지성사 시인선이 600호를, 창비 시인선이 500호를 맞이했다.스웨덴 한림원은 2024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선정 이유로 “강력한 시적 산문을 쓴 현대 산문의 혁신가”라는 평을 했다.지금 이 시대에 시는 어떤 매혹을 가지고 있을까.문학과지성사 전 대표이자 전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 그리고 35년 이상 시를 쓰면서 여덟 권의 시집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한국 문학이 약진하는 것은 국내 사정만이 아니다. 한국문학번역원이 조사한 최근 5년간의 해외 판매된 한국문학 부수는 185만부.옆 나라 일본의 경우 한국문학 판매량이 영미문학을 제친지 오래라고 한다.일본에 120여종의 한국문학 작품을 번역,출간한 출판사이자2011년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시작으로 2024년 박경리의 토지완
[다독가들]은 독서가 한 개인의 인생에 끼친 영향에 대한 질문을 통해 독서의 중요성, 책과의 관계 등을 흥미롭게 풀어가는 전문가 인터뷰 코너이다.책 이외에도 인터뷰이의 전공이나 관심사에 관한 질문 또한 추가된다.11월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는 김가영 작가를 소개한다. 김가영 작가가 직접 촬영하고 편집한 자기 소개 동영상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의 가을을 느
이번 호 석학 인터뷰에서는 "작곡하는 경영학자"로 널리 알려진 김효근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이자 아트팝 가곡 작곡가를 만났다.경영학자와 예술가를 넘나드는 김효근 교수는 경영에도 예술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소비자를 확실하게 예술 작품처럼 감동시켜 줄 수 있으면 소비자는 그 순간부터 기업의 평생 팬이 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기업이 소비자를 팬덤으로 만들기
이번 호 석학 인터뷰의 주인공은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이자 유튜브 ‘김영익의 경제스쿨’ 운영자인 김영익 교수다. 가장 어렵고 복잡한 경제학의 기본은 문학 독서라고 말하는 애널리스트 김영익 교수를 모시고, 금융 교육의 중요성, 경제학의 중요성, 향후 대한민국 경제의 흐름에 대해 들어보았다. 온 국민의 금융 멘토 김영익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경제 그리고 경